<창영 관룡사>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구룡산(九龍山) 중턱에 있는 절.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부터 있었다는 사찰로서 〈사기 寺記〉에 의하면 349년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전설에 의하면 원효가 제자 송파(松坡)와 함께 이곳에서 100일기도를 드릴 때 오색채운이 영롱한 하늘을 향해 화왕산(火旺山)으로부터 9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절 이름은 관룡사, 산 이름은 구룡산이라 했다고 한다. 1401년(태종 1) 대웅전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7년(광해군 9) 영운(靈雲)이 재건했다. 1704년(숙종 30) 가을 대홍수로 금당이 유실되었으며 1712년(숙종 38) 대웅전과 다른 당우들을 재건했다. 1749년 다시 부분적인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사찰 내에는 보물 제212호인 대웅전, 보물 제146호인 약사전(藥師殿), 보물 제295호인 용선대석조석가여래좌상(龍船臺石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제519호인 석불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인 3층석탑 등의 귀중한 문화재들이 있다.
법원주차장에서 오전 7시 출발
다른 출사때와는 달리 좀 느긋한 시간이 여유롭다.
가는길에 산수유 한 그루가 아침 햇살에 환히 빛나는 시골 정취를 잡았다.
오랫만에 보는 슬레이트 지붕과 말린 깻단이 한 폭의 풍경이 될것같았다.
좀 흐린날이 아쉽긴하지만 .......
관룡사는 생각보다 아름다웠다
절 들어가는 길 입구에 선 돌장승도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6호라고 한다.
왕방울 눈과 화난듯한 표정이 특이하지만 절을 지키는 수호신의 의지를 담고 있다고 본다면 토속적인 표정에 의미를 담을 수도 있겠다.
출입문
일주문을 대신하는 돌로 쌓아올린 기와를 얹은 작은 문
한 사람정도 드나들 수 있는 작은 문이 겸손함을 강조하는 듯 하다.
약사전 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약사전 석불좌상
보물제519호
약사전 앞 뜰에 봄빛을 머금은 진달래가 반갑다.
처음 출발은 화왕산 용선대로 가려고 했으나 현지에 도착하니 수리중이라 포기하고 경남문화예술회관이 있는 진주로 갔다.
'발자국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암사는 아직도 봄이 멀었네.... (0) | 2010.05.13 |
---|---|
경남문화예술회관 (0) | 2010.04.01 |
불일암에서 만난 아름다움 (0) | 2010.03.23 |
불일암가는 길 (0) | 2010.03.23 |
보길도 겨울 나들이 (0) | 2010.01.21 |